안녕하세요!
결혼식 청첩장을
받을 때마다 한 번쯤은
고민하게 되죠.
"축의금, 얼마나
내는 게 적당할까?"
너무 적게 내면 실례가
될까 걱정되고, 그렇다고
매번 큰 금액을 내기도
부담스럽고요.

최근엔 결혼식 물가도
상승하면서 축의금 기준도
조금씩 오르는 분위기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2025년 기준 축의금
적정 금액은 물론,
결혼식 비용과 사회적
분위기, 연령대·연도별
통계까지 꼼꼼히
정리해 드릴게요.
여러분의 현명한 선택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관계별 축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사람마다 다르지만,
기본적인 기준은 이렇습니다👇
👋 가볍게 인사만 하는 직장 동료 – 5만 원
👫 어느 정도 친분 있는 지인이나 회사 동료 – 10만 원
👬 정기적으로 연락하는 친구 – 10~15만 원
🧑🤝🧑 가족, 찐친, 가까운 친척 – 20만 원 이상
🕰️ 기억도 잘 안 나는 사이 – 마음만 담은 축하 메시지!
💡 TIP
예식장이 호텔일 경우,
식대가 비싼 만큼
일반 예식장보다 2~3만 원 정도
더 축의하는 게 예의랍니다!
📊 통계로 보는 축의금 평균
출처: 카카오페이 축의금 송금 데이터
🔸 연령대별 평균 축의금
20대: 약 6만 원
30~40대: 약 10만 원
50~60대: 약 12만 원
👉 나이가 들수록 경제적
여유와 사회적 책임감이
더해지며 자연스럽게
축의금 금액도 올라가는
경향이 있어요.
특히 30~40대는 결혼식
참석이 가장 잦은 시기라,
10만 원은 거의 '기본값'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연도별 평균 축의금
2021년: 7.3만 원
2022년: 8만 원
2023년: 8.3만 원
2024년: 9만 원
👉 해마다 조금씩 오르는 추세죠?
2025년에는 평균 축의금이
9만~9.5만 원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요즘 결혼식,
얼마나 들까요?
평균 비용 (2024 기준)
식대 (1인)- 6.5~9만 원 (호텔은 10만 원 이상)
스냅촬영 + 드레스 + 메이크업 - 500~700만 원
예식장 대관료 - 200~500만 원
특히 식대는 예전에는
35만 원대였지만 지금은
기본이 810만 원입니다.
하객이 한 명 올 때마다
신랑·신부가 손해를
볼 수도 있는 상황이에요.
그래서 요즘엔 하객들도
이에 맞춰 축의금을 조금 더
넉넉히 내는 분위기입니다.
특히 호텔 예식장이라면
10만 원은 기본, 가까운
사이일 경우 15만 원 이상도
충분히 고려되는 수준이죠.
📌 축의금, '금액'보다
중요한 것은?
단순히 "요즘은 얼마 내더라"
보다는, 아래 세 가지 기준을
고려해서 결정해보세요.
🎯 상대와의 관계
🎯 나의 경제 상황
🎯 예식 장소 및 분위기
결혼 시즌이 되면 초대도
많아지고 한꺼번에 지출이
몰릴 수 있으니,
진심 어린 메시지 +
적당한 축의금으로
예의는 지키되 부담은
덜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도 좋겠죠?
🤝 마무리하며
2025년은 이제 축의금
10만 원 시대가 본격적으로
정착하는 시점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금액
그 자체보다는 축하의 진심과
상황에 맞는 성의입니다.
✔ 과하지 않게
✔ 예의는 갖추고
✔ 내 상황도 지키며
지혜롭고 따뜻한 축의금 문화,
우리 함께 만들어가요 😊
'결혼상담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가장 예약 많은 신혼여행지 TOP 5 : 예산부터 리조트까지! (3) | 2025.05.29 |
---|---|
결혼 전 피부관리, 예산별로 똑똑하게준비하는 방법! (1) | 2025.05.22 |
웨딩드레스 소재 추천 (4) | 2025.05.16 |
2025년 결혼 비용, 얼마나 들까? (1) | 2025.05.07 |
웨딩헤어 추천 (1) | 2025.04.08 |